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Posted by 키리칸
2016. 7. 6. 16:33 같이 보고픈 삶

어제 울산에서 건물이 흔들릴 정도의 강한 지진이 있었다고 합니다.

무려 5.0의 진동이었다고 하는데요 그 후 2.5정도의 여진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번 지진은 울산뿐 아니라 부산과 대구 그리고 경상도권에서 건물이 흔들림을 느낄 정도로 꽤 컸다고하는데요..

사실... 울산과 대구의 사이에 살고 있는 저는... 느끼지를 못해서..

뉴스롤 보고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이처럼 지진은 언제 어떻게 발생될지 모르는 천재지변과 같은데요

이러한 지진 발생 시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지진발생 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이라고 하는데요

흔히 지진 대피 요령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으면 테이블 밑으로 들어가서 몸을 피하고

테이블이 없을때는 방석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우리나라의 상황에는 맞지 않은 행동이라고 합니다

테이블 아래로 들어가는 것은 건축물 자체가 낮거나 목조건물로 이루어진 집들이 많은 일본에 맞다고 하구요

우리나라는 대부분이 콘크리트의 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이 많기 때문에

지진을 느꼈다면 무조건 밖으로 대피를 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하네요

 

또한 지진을 감지했다면 문을 열어서 출구를 확보하고 가스와 전기등을 차단하여 2차사고를 방지애햐 하며

혹시나 화재가 발생을 했다면 침착하고 빠르게 불을 꺼야 한다고 합니다

이때는 물론 크게 흔들리기전이나 큰 흔들림이 멈춘 직후거나 발화가 막 시작되었을 무렵

화재 규모가 매우 작을 때에 해당합니다

 

지진발생시에 건물밖으로 대피를 해야 하는것은 맞지만 유리창이나 간판등이 떨어질 수 있어 위험하므로

미리 안전한 지역을 알아 두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지진인 화재 발생 시 엘리베이터 사용은 매우 위험하다고 하며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었다면 모든 버튼을 눌러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잦은 지진으로 인하여 대피행동요령이나 그외의 지진에 대한 대처 훈련이 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사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진에 대한 대비나 대처 훈련이 잘 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데요

우리나라 역시 3면이 바다로 둘러쌓여있고 또한 지대의 층이 지진발생이 생길수 있는 층이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항상 큰 지진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