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커져가는 가상화폐 시장, 부작용도 주의해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등 가상화폐 붐이 국내 시장에서까지 빠르게 퍼지면서 이에따른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가상화폐 거래액수는 결코 적지 않다.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의 지난달 19일 거래액은 시장의 급신장세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준다. 이날 빗썸 거래액은 2조6018억원으로 그 전날 코스닥시장의 거래액보다도 더 많았다. 일회성이긴 하지만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기에 충분한 임팩트였다. 현재도 국내 가상화폐 거래시장은 여전히 뜨겁다.
가격도 변동폭이 크긴 하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가상화폐의 대표 비트코인의 거래액은 31일 515만3000원으로 1년전의 8배 수준으로 올랐다. 이처럼 성장세도 가격도 뜨거운 가상화폐는 시장의 존립을 위협할 수도 있는 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올해 4월 야피존이란 거래소는 해킹으로 고객 예치금 55억원을 도난당했으며 이 사고액은 투자자들이 분담해야했다. 세계최대 거래소로 부상한 빗썸도 6월에 직원의 개인용컴퓨터가 해킹돼 3만여 투자자들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버렸다.
사기사건도 빈발하고있다. 가짜 가상화폐 '헤지 비트코인'을 이용해 1552억원을 가로챈 사기사건이 우리나라에서 일어났었다. 가상화폐가 자금세탁의 창구로 이용되는것은 사실상 공공연한 비밀이다. 또한 가치가 너무 급변한다는것도 불안 요소다. 가격 급변성이 심해 상품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들은 가상화폐가 극복해나가야할 과제일것이다.